프리미엄 지하이중벽 UP5

대한민국 지하주차장의 고급화를 선도하는 기업

오케이배수판 7

불연 지하이중벽 UP5 / 계단실 계단전실 사용

안녕하세요? ​ 2023년 새해가 오는가 싶더니 벌써 1달이 거의 다 지나갔습니다. ​ 새해의 다짐을 다시한번 생각해 봅니다. ​ 오늘은 불연 지하이중벽 UP5를 계단실에 적용한 두산건설, 코오롱건설 현장 입니다. ​ 지하주차장 뿐만 아니라 계단실에도 불연자재 UP5를 사용 하였습니다. ​ 그만큼 불연자재의 중요성이 점점 대두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 아직도 플라스틱 배수판으로 건물의 지하 주차장을 검토하고, 설계 하는 건축사무소들이나 ​ 건설사들은 이 문제에 대해 어떤 복안을 가지고 있는지 정말 너무 궁금합니다. ^^ ​ 계단실의 지하이중벽 설치는 조금 까다롭습니다. ​ 공간도 매우 협소하고, 깨끗한 마감을 위해서는 각 층계마다 모두 "ㄱ"자로 따 내어야 하기 때문 입니다. ​ 그러나 보니 램프구간에 ..

지하주차장 마감재로 플라스틱 사용 괜찮을까?

안녕하세요? 올겨울은 눈도 많이 내리고, 날씨도 춥고 그러네요~ 겨울철이라 시간적인 여유가 있어 국토교통부에서 고시한 " 건축물 마감재료의 난연성능 및 화재 확산 방지구조 기준" 과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을 살펴보고 있습니다. 이 규정들에 의하면 지하주차장 마감재로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것은 위법한 행위라고 생각 됩니다. 건축물의 내부마감재료는 불연재, 준불연재, 난연재를 사용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지하주차장을 내부로 본다면 반드시 불연재, 준불연재, 난연재 이상의 제품을 사용 하여야 할것입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지하주차장에 가연성 소재의 플라스틱을 무분별하게 사용하게 되었을까요? 지하 주차장을 내부로 본것이 아니라 외부로 보았기 때문입니다. 제6항에도 불구하고 제61조제2항제1..

I s s u e/I s s u e 2022.12.21

불연 지하이중벽 UP5 / 현대건설 램프구간시공

불연 지하이중벽 UP5를 램프구간에 적용하기 위해 시스템 아시바를 설치하고 있습니다. 램프구간 공사를 위해 시스템 아시바를 설치한 경우는 처음 입니다. 주차장의 경우 렌탈이나 이동형 조립식 아시바를 이용하여 작업을 하였지만, 이번 현장의 경우 층고가 10미터나 되고 그리고 경사가 진 램프구간이라, 시스템 아시바를 설치하고 시공 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시공비상승의 원인이 되긴 하지만, 안전이 우선이니까요.

불연 지하이중벽 UP5 KCC 내곡동 소리박물관 현장

안녕하세요? KDM에서 공사 진행중인 서울 내곡동에 위치한 소리박물관 현장 입니다. 이 현장은 일본 건축설계사무소에서 설계된 현장으로 다른 현장에 비해 매우 까다롭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기존 KDM에서 시공하는 방법에 현장에서 요청한 추가 사항들을 접목하여 진행하였습니다. 또한 블랙 색상이다 보니, 생산에서 부터 시공까지 세심한 주의가 필요 하였습니다. 블랙 색상이 관리하기가 힘들다는 것을 이번에 절실하게 느끼게 한 현장 입니다. 원래 이 현장은 KCC 내방수 석고보드로 설계가 되었지만, 지하 공간의 습기 등을 고려하여, KDM UP5로 변경된 현장 입니다. 시공 완료후 일본 건축설계사와 발주처에서도 매우 만족해 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원래 계획에 없던 부분도 추가적으로 12월에 시공할 예정 입니다. 준..

KDM UP5 VS 플라스틱 배수판 상세비교_4. 마감몰딩

지하이중벽 UP5 와 플라스틱 배수판의 또 다른 차이점은 마감 몰딩입니다. ​ 대부분의 벽채용 배수판은 시공후에 걸레받이와 상부, 옆부분을 마감 몰딩으로 마감을 합니다. ​ 마감 몰딩을 사용하여 마감선을 깨끗하게 보이게 하기 위한 것인데... ​ 플라스틱 배수판의 경우 1.0T의 PVC를 사용하게 됩니다. ​ 이러다 보니 시공후 몇개월이 지나면 PVC 가 휘어 지저분하게 보이게 됩니다. ​ 아래 사진은 플라스틱 배수판의 상부 마감몰딩재를 사용한 사진 입니다. 아래 사진은 플라스틱 배수판 하부 마감몰딩재를 사용한 사진 입니다. KDM UP5의 경우 실내 인테리어와 비슷한 수준의 걸레받이와 마감 몰딩재를 사용 합니다. ​ 하부 걸래받이는 1.0T의 알미늄에 분채도장을 하였습니다. ​ 그리고 상부와 옆부분은 ..

KDM UP5 VS 플라스틱 배수판 상세비교_3. 디자인

지하이중벽 UP5 와 플라스틱 배수판의 가장 큰 차이점은 디자인 입니다. ​ 지하이중벽 UP5는 심플하고 모던한 현대건축의 비스코프 디자인을 추구 합니다. ​ UP5는 디테일한 마감까지 염두에 두고 생산부터 시공까지 그 현장에 맞게 진행이 됩니다. ​ 그러나 플라스틱 배수판은 165*165의 규격 제품이다 보니 현장과는 상관없이 같은 규격으로 ​ 계속 찍어 재고가 출고 되므로 단조로운 패턴 작업에서 벗어날 수 없습니다. ​ 그러다보니 건축주 분들이나 설계하시는 분들은 디자인성과 기능성이 우수한 UP5를 선호하게 됩니다. ​ 건축주 분들은 KDM UP5의 디자인성과 기능성 때문에 UP5를 선호합니다. ​ 그 이유는 " 지하주차장이 그 건물의 첫 이미지 인데, 고급스럽고 모던하게 마감하고 싶다. ​ 저렴하고..

KDM UP5 VS 플라스틱 배수판 상세비교_2. 시공방법

지하이중벽 UP5 와 플라스틱 배수판은 시공 방법에도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UP5의 경우 런너와 스터드를 사용하여 시공 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습니다. ​ 1. 벽면의 방수층을 보호 ​ 2. 평활도가 우수함 ​ 3.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에 대해 유연하게 대응가능 ​ 아래 사진은 UP5 시공전 스터드와 런너를 사용하여 골조를 만들어 놓은 사진 입니다. 플라스틱 배수판은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습니다. ​ 1. 벽채에 베이스판 고정시 힐티를 곧바로 벽면에 타정함으로써 벽면의 방수층을 파손 ​ 2. 벽체의 모양데로 시공 됨으로 평활도 확보가 어려움 ​ 3. 정해진 시공법 이외에는 대응이 어려움. (스터드 런너 시공시 추가비용 발생) ​ 아래 사진처럼 스터드없이 플라스틱 배수판의 베이스 판을 곧..